고혈압(Hypertension)은 심장이 혈액을 전신으로 보내기 위해 동맥에 가하는 압력이 정상 범위를 초과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성인의 경우,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일 때 고혈압으로 진단됩니다.
심장은 끊임없이 혈액을 펌프질하며 산소와 영양분을 전신에 공급하는데, 이 과정에서 혈관 벽에 압력이 가해지며 이 압력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심혈관계에 부담을 주고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고혈압의 분류 (대한고혈압학회 기준)
분류수축기 혈압(mmHg)이완기 혈압(mmHg)
정상 | <120 | <80 |
고혈압 전단계 | 120–139 | 80–89 |
고혈압 1단계 | 140–159 | 90–99 |
고혈압 2단계 | ≥160 | ≥100 |
위와 같은 수치는 평균적으로 3회 이상 진료실에서 측정한 혈압값의 평균을 기준으로 하며, 집이나 병원 외 장소에서 측정한 자가혈압도 진단에 참고할 수 있습니다.
🔎 본태성 고혈압과 이차성 고혈압
고혈압은 원인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 본태성(일차성) 고혈압: 전체 고혈압 환자의 약 90~95%를 차지하며, 명확한 원인이 없고 유전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대부분의 성인 고혈압이 이에 해당합니다.
- 이차성 고혈압: 신장 질환, 내분비 질환(예: 쿠싱증후군), 약물(예: 스테로이드) 등의 특정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차성 고혈압은 원인을 치료하면 혈압이 호전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발견이 매우 중요합니다.
💡 고혈압이 왜 위험할까요?
고혈압은 초기에는 **눈에 띄는 증상이 거의 없어 '침묵의 살인자(Silent Killer)'**라 불립니다. 그러나 오랜 기간 관리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중대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뇌졸중(뇌출혈 및 뇌경색)
- 심부전 및 심근경색
- 만성 신부전
- 시력 저하 또는 실명(고혈압성 망막증)
✨ 요약 정리
- 고혈압은 수축기 140 이상 또는 이완기 90 이상인 경우 진단
- 본태성과 이차성으로 구분되며 대부분은 본태성
- 증상이 없어도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지속적인 관리가 필수
'성인병 완벽 가이드! > 고혈압 완벽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고혈압에 좋은 식이요법 (2) | 2025.04.07 |
---|---|
6. 예방을 위한 생활 습관 (2) | 2025.04.07 |
5. 고혈압 치료법 (0) | 2025.04.07 |
3. 고혈압의 증상 (1) | 2025.04.06 |
2. 고혈압의 주요 원인? (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