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인병 완벽 가이드!/고콜레스테롤 완벽 가이드

5. 치료 및 의료 가이드라인

by Family & Health 2025. 4. 7.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치료는 단순히 수치를 낮추는 것이 아니라,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줄이고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개선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치료는 크게 비약물적 치료와 약물 치료로 나뉘며, 개별 환자의 위험도와 건강 상태에 따라 맞춤형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5-1. 비약물적 치료 (생활습관 개선)

가장 먼저 권장되는 것은 생활습관 개선입니다. 다음은 고콜레스테롤혈증 관리에 효과적인 주요 방법입니다:

  • 식이요법 개선: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을 줄이고, 섬유질이 풍부한 식품(채소, 과일, 통곡물, 견과류 등)을 섭취합니다.
  • 체중 관리: 비만은 LDL 수치를 증가시키고 HDL을 낮추므로, 체중 감량은 콜레스테롤 조절에 핵심입니다.
  • 규칙적인 운동: 일주일에 최소 150분 이상의 유산소 운동은 HDL 수치를 높이고 중성지방을 낮춥니다.
  • 흡연 및 음주 제한: 금연은 HDL 수치를 높이며, 과도한 음주는 중성지방을 증가시키므로 절주가 필요합니다.

5-2. 약물 치료

생활습관 개선으로 충분한 효과를 보지 못한 경우, 또는 고위험군이라면 약물 치료가 병행됩니다. 주요 약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 스타틴계 약물(Statins): 콜레스테롤 생성을 억제하며, LDL을 강력하게 낮추고 심혈관 질환 예방 효과도 입증됨
  • 에제티미브(Ezetimibe): 장에서 콜레스테롤 흡수를 억제
  • PCSK9 억제제: 주사제 형태로, 고위험군에 사용되며 LDL을 효과적으로 낮춤
  • 피브레이트(Fibrate): 중성지방 수치를 낮추고 HDL 수치를 증가시킴

🔍 주의: 약물 복용 시 의사의 처방 및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수이며, 간기능 검사 등을 병행해야 합니다.

5-3. 병용 치료와 최신 가이드라인

최근에는 스타틴과 에제티미브 병용요법, 혹은 스타틴 불내성 환자에게 PCSK9 억제제 투여 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3년 대한지질동맥경화학회에서는 LDL-C 목표치를 더욱 낮추는 방향으로 가이드라인을 개정했습니다.

  • 일반인: LDL 130mg/dL 이하
  • 심혈관 위험군: 100mg/dL 이하
  • 매우 고위험군: 70mg/dL 이하 혹은 55mg/dL 이하로 목표 설정

5-4. 치료의 목표와 중요성

치료는 단기적인 수치 개선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데 있습니다. 특히 당뇨병, 고혈압, 비만 등과 병행 시 치료 효과 극대화가 가능합니다.

 요약: 고콜레스테롤혈증 치료는 식이요법과 운동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시 스타틴계 약물 등으로 LDL 수치를 조절합니다. 최근 가이드라인은 위험도에 따른 맞춤형 치료와 보다 낮은 목표치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정기적 추적 관찰과 병용 요법을 통해 최적의 건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